♪ 서평/철학 비타민-세상이 다르게 보이고 내가 바뀌는♬
◆ 저자: 도마스 아키나리/전선영 옮김
◆ 출판사: 부키
◆ 연도: 2014
*why
이 책의 저자는 철학들의 사상과 말들을 쉽고 재미있게 표현해 놓음으로써 철학이 어렵고 따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철학에 대한 편견을 없애주고, 생활 속의 모든 것에 철학을 적용시킴으로써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음을 알려 주려고 이 책을 저술했다.
*what
이 책에서는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44인의 철학자들의 사상을 정리해 놓았다.
*how to
앞으로 나는 간략히 정리된 철학자들의 사상을 바탕으로 좀 더 가까이 철학에 입문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것이다.
1.
나는 도마스 아키나리가 쓴 ‘세상이 다르게 보이고 내가 바뀌는 철학 비타민’ 이 철학에 대해 어렵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조금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해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.
3.
왜냐하면,
첫째, 철학자 개개인의 핵심적인 사상을 정리해 놓았기 때문이고,
둘째, 철학에 대해 지루하지 않게 언급했기 때문이며,
셋째, 철학자들을 시대적으로 분류해 놓음으로써 철학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기 때문이다.
1.
그래서 나는 나는 도마스 아키나리가 쓴 ‘세상이 다르게 보이고 내가 바뀌는 철학 비타민’ 이 철학에 대해 어렵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조금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해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. 그러나 철학책을 조금이라도 접한 분들에게는 깊이감이 얕다는 아쉬움이 남는다.
* 내 마음속에 남은 한 문장 : “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이 현실일까? 꿈일까? -데카르트-”
[목 차]
1장 그리스 철학_ 우주의 법칙을 알고 싶다!
만물의 근원은 물이다!" ㆍ 철학의 시작을 알린 탈레스의 외침
수학으로 영혼을 갈고닦다 ㆍ 피타 고라스
어두운 사람 vs 밝은 사람 ㆍ 왜 세계는 존재하는가?
사람은 제각각이다 ㆍ 소피스트의 상대주의
철학 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이자 괴짜의 등장 ㆍ 소크라테스의 철학
이토록 낭만적인 철학 ㆍ 플라톤의 이데아론
스승을 걷어차다 ㆍ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
"행복이란 무엇인가?"를 진지하게 생각하다 ㆍ 에피쿠로스와 제논
2장 중세 철학_ 신이란 무엇인가를 끝까지 파고들다
한결같이 신을 믿다 ㆍ 아우구스티누스의 진심 어린 맹세
우주 규모로 신의 존재를 증명하다 ㆍ 토마스 아퀴나스
면죄부에 격노한 성실한 사람들 ㆍ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
"나로 태어나 다행이다!" ㆍ 중세 철학의 막을 내린 르네상스
3장 근대 철학_ 생각하는 나의 발견
끊임없이 의심을 거듭하다 ㆍ 데카르트의 사고법
마음과 몸은 하나 ㆍ 스피노자의 역동적인 해답
"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." ㆍ 파스칼의 명언에 숨은 비밀
그가 있었기에 냉난방이 있다? ㆍ 베이컨
우리 마음은 새하얀 종이 ㆍ 로크, 버클리, 흄
프랑스 혁명에 불을 지피다 ㆍ 루소의 사회계약론
세계를 180도 뒤집은 꼬장꼬장한 철학자 ㆍ 칸트
변증법은 롤플레잉게임(RPG)? ㆍ 헤겔
4장 현대 철학 1_ 나를 위한 행복론을 지향하다
괴로워하는 '나'를 위한 철학을! ㆍ 키르케고르의 영혼의 외침
삶은 고뇌다 ㆍ 쇼펜하우어의 행복론
만약 똑같은 인생을 다시 산다면 ㆍ 니체의 운명애
"웃기 때문에 행복해질 수 있다." ㆍ 긍정 철학의 아버지 제임스
시간이란 무엇일까? ㆍ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
"죽음에서 눈을 돌리지 마라!" ㆍ 하이데거의 철학 혁명
인간의 끝없는 자유 ㆍ 사르트르의 위대한 발견
5장 현대 철학 2_ 사회 속에서 산다는 것의 의미
모두의 행복을 지향하다 ㆍ 벤담의 공리주의
쾌락에도 '질의 차이'가 있다 ㆍ 존 스튜어트 밀의 질적 공리주의
무엇을 위해 일하는가? ㆍ 마르크스의 자본론
6장 현대 사상_ 철학의 놀이동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
철학이 '홈페이지'라면 현대 사상은 '트위터'다?
우리는 언어의 노예다 ㆍ 소쉬르의 언어철학
과거의 철학을 말살하다 ㆍ 비트겐슈타인
서양의 자민족중심주의를 비판하다! ㆍ 레비스트로스
무의식을 둘러싼 싸움 ㆍ 프로이트와 융
프로이트의 제자가 찾아낸 엉뚱한 에너지 ㆍ 라이히
"인간은 죽었다." ㆍ 푸코의 계보학
무엇이 정의인가? ㆍ 샌델 교수의 토론 교실
댓글